실전 작명학 길라잡이

지은이 김윤중 쪽수 604쪽
초판 2018-08-01 ISBN 979-11-6054-172-4
판형 182*257mm 기타
  • 81수리 작명법은 일본식 작명법인가?
    81수리의 원저(原著)는 남송(南宋) 대(代) 채침(蔡沈 : 1167~1230년)의 구구도(九九圖)인가?
    단언한다. 아니다.
    채침이 구구도에 이론의 근거를 두고 있다고, 어느 분이 처음 주장하였는지 모르나 남송대의 채침보다 1100년 앞선 전한(前漢) 말(末)의 사상가인 양웅(揚雄)이 지은 『태현경(太玄經)』을 보면 1–3–9–81로 분화되는 수리체계의 점법서(占法書)였다. 그렇다면 양웅의 『태현경』이 81수리체계의 원저인가? 아니다. 이미 수천 년 전부터 북방 샤머니즘에서도 이미 우주의 완성수로서 81수리체계를 사용하고 있었다.
    필자는 송대(宋代)의 상수학(象數學)과 양웅의 『태현경』과 함께 수천 년을 이어온 81수리의 전거(典據)를 밝혔으며, 쿠마사키켄오(熊崎健翁)의 81영동수리를 번역하여 우리나라의 81수리와 비교하였다.
    왜? 세종과 집현전 학사들은 『훈민정음 해례』에 순음 ㅁ, ㅂ, ㅍ의 오행을 토(土)로 하였으며 후음(喉音) ㅇ, ㅎ의 오행을 수(水)로 하였을까?
    왜? 신경준(申景濬)은 『훈민정음운해 : 저정서(邸井書)』에서 순음(脣音)의 오행을 수(水)로 하였고, 후음(喉音)의 오행을 토(土)로 하였을까?
    “『훈민정음 해례』의 오역(誤譯)으로 순음(脣音) ㅁ, ㅂ, ㅍ과 후음(喉音) ㅇ, ㅎ이 바뀌게 되었다.”
    “『사성통해』와 『훈민정음 운해』에서 『훈민정음 해례』의 잘못된 오행의 부분을 바로잡았다.”
    “『훈민정음 해례』는 소강절의 『황극경세서 성음창화도』를 따랐다.”
    “성명학의 오행과 『훈민정음 해례』의 오행은 다르다.”
    발음 오행에 대해 설명한 작명서나 블로그(blog)의 글을 읽어보면 윗글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과연 어떠한 전거(典據)와 이론을 가지고 이러한 글들을 쓰는지 참으로 궁금하다.

    『실전 작명학 길라잡이』에는 작명에서 혼동되었던 81수리와 발음오행에 대해 명쾌한 해답을 내놓았다.

  • 들어가는 말

    추천하는 글

     

    작명(作名) 개관(槪觀)

    1. 『실전 작명학 길라잡이』 내용 소개
    2. 작명(作名)과 개명 방법
    3. 개명 절차
    4. 성(姓)의 역사
    5. 공명첩(空名帖)
    6. 시대에 따라 다르다
    7. 성(姓)과 본(本)의 변경

     

    수리(數理) 작명법

    1. 오격부상법(五格剖象法)
    2. 쿠마사키 켄오(熊崎健翁)와 아베 다이산(阿部泰山)
    3. 엔카(演歌)

    4. 81수(數)의 역사적 연원(淵源)
       (1) 문제의 제기
       (2) 낙서(洛書)
       (3) 점서(占書), 점서(占筮)
       (4) 천부경(天符經)
       (5) 율려(律呂)
       (6) 태현경(太玄經)
       (7) 3수 분화
       (8) 81수의 연원(淵源)에 대한 결론

     

    발음(發音) 작명법

    1. 문제의 제기
    2. 음운학(音韻學)
    3. 중국의 성조(聲調)와 범어(梵語)
    4.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성음창화도(聲音唱和圖)」

    5. 『훈민정음(訓民正音)』
    6. 『절운지장도(切韻指掌圖)』
    7.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와 『저정서(邸井書)』
    8. 『사성통해(四聲通解)』·
    9.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
    10. 율려신서(律呂新書)
    11. 과학과 음악, 그리고 음성학
    12. 이래도 『훈민정음』「해례」를 따르지 않을 것인가

     

    작명의 실무(實務)

    1. 작명과 음양(陰陽)
    2. 모음(母音)의 음양
    3. 작명과 오행(五行)
    4. 원(元) · 형(亨) · 이(利) · 정(貞)
    5. 성씨별 좋은 수리 배열

     

    쿠마사키 켄오(熊崎健翁)의 수리(數理)


    81수 길흉(吉凶) 조견표


    발음 작명법 조견표


    오행(五行) 배합(配合)


    오행(五行)의 배합 조견표
       목 오행 조견표
       화 오행 조견표
       토 오행 조견표
       금 오행 조견표
       수 오행 조견표


    불용문자(不用文字)


    대법원 인명용 한자 자원 오행표


    두음법칙


    동자이음, 동음이의


    동파한자


    인명용 한자 자원오행 분류표[대법원 고시 8,142자]


    참고문헌

  • 목포시립교향악단을 다니며 대학원을 다니던 젊은 음악학도는 동양철학에 빠져 교향악단을 사직하고 다니던 대학원까지 자퇴한 후 입산하여 송월당(松月堂) 법원(法圓)스님 문하에 들어 동양철학을 사사하였고, 우암(尤庵) 선생님 문하에서 한학(漢學)을 사사하였다.


    • 목포대학교 음악과 졸업
    • 송월당 법원 스님 사사
    • 우암(尤庵) 선생님 한학(漢學) 사사
    • 울산광역시 장애인 검도회 이사


  •